불쾌한 골짜기 이론이란?
- 세상돌아가는이슈
- 2020. 3. 25. 22:07
불쾌한 골짜기 이론은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 가 주장한 이론입니다.
불쾌한 골짜기라는 뜻은 인간이 인간을 닮은 대상에 대해서 느끼는 호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변화 양상이 골짜기와 비슷한 모양을 보인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이는 로봇뿐만 아니라 좀비, 인형 등등 인간과 유사한 모양새를 취하는 많은 부분에서 확인할수 있는 일종의 심리학 이론이라고 볼수도 있겠습니다.
사람은 사람과 유사한면을 발견하게 되면 일정 정도의 호감을 느낍니다.
예를 들어서 살펴보면, 인간과 비슷한 모형을 한 인형이나 로봇과 같은 경우에는 인간이 친근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아예 인간과 닮지 않은 로봇청소기와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한 로봇을 비교해본다면, 우리는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로봇을 더 선호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더 호감을 느끼기도 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인간과 닮은정도가 더욱 심해지고 어설프게 닮는다는 생각이 들게되면, 호감도는 다시 떨어지게 됩니다.
만약 우리가 인간과 유사한 어떠한 물체를 바라본다고 할때, 어느정도의 인간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호감도는 올라가지만 부자연스럽거나 이질적인 인간과의 유사성을 발견하면 호감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것의 예시로는 좀비나 인간 형상의 귀신 등을 예로 들수 있는데요.
우리는 일반적으로 좀비나 인간 형상의 귀신을 보면 공포감을 갖거나 불쾌함을 느낍니다.
이러한 감정이 생기는 이유는 그들이 인간과의 유사한 모습을 보이지만,
호감도를 느끼는 수준보다 더 이질감을 느끼게 됨으로서 불쾌함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이 느끼는 호감도는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때 어느정도 상승하지만 이질적인 모습을 발견하면 골짜기처럼 아래로 푹 꺼지는 모양새를 보인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과의 유사도가 더 높아져서 이질적인 모습이 아니라, 인간과 구분할수 없을만큼의 비슷한 모양새를 보인다면 호감도는 다시 올라갑니다.
이런 면에서 골짜기처럼 위로 올라갔다가 아래로 푹 꺼졌다가 다시 올라가는 그래프 모양을 보여주는 것이 '불쾌한 골짜기' 이론입니다.
이런 이론은 로봇에 대해서도 생각해볼수가 있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인간형 로봇은 어느정도의 친밀감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인간형 로봇이 더 인간같은 모습을 보이고, 그 정도가 이질감을 유발하게 된다면 우리는 오히려 공포나 불쾌감을 느끼게 될수 있는 것이지요.
이에 더해서 인간형 로봇이 인간과 구별할수 없을만큼 인간과의 유사성을 보이는 정도까지 발전하게되면, 우리는 다시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인간이 다른 인간을 바라볼때가 아닌 보통 3D나 로봇과 같은 인간이 아닌 물체를 바라볼때 이러한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 나타납니다.
이에 대해서 동의하시는 분도 있으실테고, 동의하시지 않는 분도 있으실 테지만 어느정도의 설명과 공감이 가능할수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돌아가는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가포르 개학과 우리나라 개학에서 살펴보아야 할점 <코로나 19> (0) | 2020.03.27 |
---|---|
미스터트롯 임영웅 신곡 '이제 나만 믿어요' (0) | 2020.03.27 |
'미국발 입국자 강화조치' 코로나 자가격리 (0) | 2020.03.25 |
'온라인 개학' 과 '원격수업' 교육부 방안 (0) | 2020.03.25 |
반의반 김지수 - 배우 박주현님 (0) | 2020.03.25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