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키움 통장이란? 신청자격과 금액은? 신청방법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희망키움 통장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취업하기는 어렵고, 내집마련은 더더욱 어렵고, 자립하기가 너무 힘든게 요즘 현실입니다.

어렸을때 꿈꿨던 미래와 달라서 힘들어하시는 분들도 많을테고, 내돈을 모으기보다 대출을 갚는것에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시는 분들도 많을텐데 모두 힘내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키움 통장은 이러한 어려움에 처해있는 청년들에게 어느정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복지 제도입니다.

물론 큰금액은 아닐지 몰라도 매월 차곡차곡 쌓이는 금액이 만기가 되었을때는 약 1,500만원 가량의 금액이 되니까 관심있는 분들은 글을 한번 쭉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청년희망키움 통장의 신청자격은 어떻게 되는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나이는 만 15세에서 만 39세 사이의 청년이 해당되고 이중에서 생계급여를 수급하는 청년이 해당됩니다.

<신청당시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또한 청년희망키움 통장을 신청할 당시에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의 20% 이상인 청년에 해당이 되어야 지원을 받을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위소득이란 정가운데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1인 가구 기준 소득의 중간값 소득의 20%보다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많아야 지원대상자입니다.

2020년을 기준으로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1,757,194원입니다. 이의 20%는 약 35만원 정도가 되겠죠.

그러므로 한달소득이 35만원 이상이 되어야 지원가능한 대상자입니다.

 

그렇다면 금액은 얼마나 지원이 될까요?

항상 희망을 잃지 마세요!

지원금액은 생계급여액 지급시 본인의 근로소득이나 소득사업에서 공제된 금액 월 10만원과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금액 약 30만원 정도로 월 40만원 정도를 저축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본인 부담 저축액은 없습니다>

본인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에 따라서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금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월 30만원 정도입니다.

따라서 공제금액과 지원금액을 합쳐보면,

1년에 총 480만원 정도의 금액을 저축하는 것입니다.

그렇게되면 3년 기준으로는 평균적으로 1,440만원 정도의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가입기간인 3년동안 지속적으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발생해야하고, 만기시에 금액을 받을수 있습니다.

 

2019년에는 청년희망키움 통장의 경우 10차까지 매달 모집자를 모집한 뒤에 선착순으로 지원자를 선별하여 지원하였습니다.

2020년에도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청년희망키움 통장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으며 본인이 자격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기간에 맞춰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거주지 읍이나 면,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증빙서류 등 필요한 서류와 더 궁금하신 것이 있으시다면 보건복지상담센터 129에 전화하셔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